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자산 평가 점수는 재테크의 가장 첫번째 원칙

by 체리사이다 2015. 10. 26.

자산 평가 점수는 재테크의 가장 첫번째 원칙

지출에 대한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잇다.

변액연금도 가입하고 잇는데 가입이 잘못됏다 맞다

를 떠나서 약관 대출을 받고 있다는 것은

급여 수준을 뛰어넘는 지출을 하고 잇다.

점수는 20점이다.

마찬가지로 20점을 생각하고 잇다가

점수는 60점이다

 

 

 

 

 

 

 

 

 

처음엔 20점으로 생각하고 잇는데 상담을 진행하면서

본인이 변화하려는 의지가 강해졋다.

상담시 카드를 잘랏다.

그런의지 때문에 점수를 더 줫다.

3개월후 포트폴리오를 보면

급여일에 체크카드 자동이체를 하고

생명사 종신보험

새마을 금고 정기자금 50만원

주택청약종합저축 2만원

적립식 펀드 30만원

 

 

 

 

 

 

 

 

 

 

 

 

 

변액연금 변액유니버셜 20만원

의지가 돋보여서 감동이 되엇다.

종신보험은 변액보험으로 본인의 상황에 맞지않게 해지를 햇다.

카드 잔액을 모두 청산하고

비상예비자금을 확보한 상태이다.

결혼후 재무상황에 맞춰 늘렷다.

정기적금이 단기 이벤트를 대비하기 위해서 급여가

매년 조금씩 늘어날것으로 예상이 되어서

비정기 지출도 15만원씩 모으고 잇다.

 

 

 

 

 

 

 

 

 

 

 

어떠한 펀드를 추천하고 잇는가

펀드 잘 추천할것이지만 첫번째로 배당 정책을 많이 얘기하고 잇다.

기업내 유보금에 대한 과세하겟다 할 정도로

배당주 가치주 펀드를 추천하고 잇다.

해외 쪽으로 눈을 돌리면 유럽이나 통화정책을 통해서

증시를 부양하겟다는 얘기가 나오고 잇는데

선진국 펀드에도 추천을 많이 하고 잇다.

 

 

 

 

 

 

 

 

 

외부 강의에 가서 펀드나 투자를 얘기할때

투자에 대한 공부나 관리가 중요하다.

상담을 하다보면 연금저축으로 고객분들이 많이 생소해 한다.

기관이나 절차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을하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적용받는 연금저축을 가입받는데

이러한 세금혜택도 많이 줄어들고 잇고 보험사에서 가입하면

납입금액이 조절되지 않는다.

 

 

 

 

 

소득이 줄어들때는 계속 내야 하는 관점이 잇는데

정부에서 계좌이전 기관이전이라는 제도를 만들어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