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소비자 입장에서 전세금이 하루가 다르게 오르고 잇는데

by 체리사이다 2015. 12. 30.

2억원이상-6억원 미만

주택 임대부분에서 보면

1억원이상 3억원 미만하면 0.8% 이상이다.

정부 개선안 보면 6-9억원 보면

9억원 이상을 등급을 하나더 매겨서

임대 부분에 보면 3억원에서 6억원 0.4%가 된다.

 

 

 

 

 

 

 

오피스텔의 경우 또다른 쟁점이 주거용 오피스텔이다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높다.

많은 분들이 주거하고 잇다.

주거용 오피스텔 매매 0.5 프로 이하 임대차 이하도 하자.

2000년대 만 하더라도 적엇다.

부동산 중개수수료가 넘엇는데

 

 

 

 

 

 

 

 

 

 

공청회가 열리고 하는데 소비자 입장에서는 낮춘다 하면 환영하고

좋아할 소식이지만

직접 부동산 반발이 잇지 않을까 생계와 직결되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서 협의점을 잘 찾아야 한다.

23일 공청회가 열렷는데 공인중개사 집단 반발이 잇엇다.

 

 

 

 

 

 

 

 

파행을 빋어서 중단만 됏는데 최종 확정후

정부 이달말 개선안 최종 확정

전세금이 계속 폭등하다보니 중개수수료도 뛰다 보니

호화 주택이 아닌거 아니냐 아우성을 치고 잇다.

정부의 부동산 수수율에 반영된다.

부동산 중개에 몸담고 잇는 당연히 반발이 잇다.

 

 

 

 

 

 

 

 

소비자 입장에서 전세금이 하루가 다르게 오르고 잇는데

고가 주택에 맞게 요율이 매겨져 잇으니 이중삼중으로 고통이 크다.

부동산 중개인들에 주장도 사실 들어봣을때 타당한것도 잇다.

부동산 하나당 1년에 거래건수가 14건 정도이다.

그러면 굉장히 큰 돈이라 생각하는데 임대료 빼면 월평균

100만원이 안되는 거라고 영세 부동산 같은경우 상당히 어렵다는것을

알고 잇다.